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과 위험국가 현황
2025년에도 지카바이러스는 여전히 위험합니다. 중남미·동남아 여행 전 꼭 확인해야 할 감염국가, 전파 경로, 임산부 주의사항, 예방수칙까지 한눈에 정리!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지카 감염 위험은 현실입니다. 백신이 없는 지금, 철저한 예방만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지카바이러스, 아직도 확산 중인가?
2025년 5월까지 전 세계 지카바이러스 감염자 수는 12,660명입니다. 2023년에는 56,601명, 2024년에는 44,957명이 보고됐습니다. 브라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국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태국, 인도,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과 부르키나파소 등 아프리카 일부에서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첫 감염 사례가 5월 30일 인도네시아에서 입국한 남성에게서 확인됐습니다. 전체 40건 중 97.5%가 해외 유입이며, 필리핀, 태국, 베트남 순으로 많습니다.
지카바이러스는 이렇게 전파됩니다
지카 감염은 대부분 모기를 통해 이뤄집니다. 이집트숲모기 등 감염된 숲모기에 물리는 게 가장 흔한 전파 경로입니다. 잠복기는 3~14일, 증상은 발열, 발진, 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등으로 다양합니다. 성 접촉, 수혈, 임산부에서 태아로의 전파도 가능합니다. 임신 중 감염되면 소두증 등 치명적인 기형이 생길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감염 위험 지역, 92개국이나 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WHO는 92개국을 지카바이러스 감염 위험국가로 지정했습니다. 특히 여행이 잦은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은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합니다.
여행 전 꼭 해야 할 준비는 이것입니다
여행 전 감염병 발생 정보를 확인하세요. 질병관리청(kdca.go.kr)에서 국가별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모기 기피제, 모기장, 밝은 색 긴 옷, 상비약은 필수입니다. 임산부는 여행 전 의사 상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모기기피제 사용 요약
- 권장 성분: DEET, 피카리딘(Icaridin), 유칼립투스 오일(PMD), IR3535 포함 제품 사용
- 사용법: 피부나 옷에 엷게 도포, 눈·입·상처에는 사용 금지
- 주의사항: 야외에서 사용 후 실내 들어오면 물로 세척
- 효과 지속시간: 3~4시간
- 보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여행 중에는 이렇게 행동하세요
풀숲이나 산속은 피하고, 밝은색 긴팔과 긴 바지를 착용하세요. 노출된 피부엔 반드시 DEET, 피카리딘, IR3535 성분의 모기 기피제를 사용합니다. 숙소는 방충망과 모기장이 있으며 에어컨이 있는 곳으로 정하세요. 정체된 물은 모기 서식지가 될 수 있으니 제거하세요.
여행 전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서 방문 지역의 감염병 정보를 꼭 확인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밝은색 긴팔·긴바지 등 모기 퇴치 용품 준비
- 임신부는 감염국 여행 자제, 불가피할 경우 사전 의료상담 필수
여행 중
- 방충망·모기장·에어컨이 있는 숙소 사용
- 외출 시 밝은색 긴팔 옷 착용, 기피제는 허용량 내에서 바르고 눈·상처는 피함
- 기피제 사용 시 제품 설명서나 식약처 홈페이지에서 사용법 확인
여행 후
- 귀국 후 2주 내 발열·발진·관절통 등 증상 시 병원 방문, 해외 방문력 알리기
- 증상 없어도 헌혈은 금지(국가별 헌혈 보류 기간 적용)
- 귀국 후 남녀 모두 3개월간 임신 연기, 성관계 자제 또는 콘돔 사용
- 임신부는 산전 진찰을 통해 태아 상태 지속 모니터링
귀국 후 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병원으로
발열, 발진, 결막염, 관절통이 생기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고 해외 방문력을 알려야 합니다. 헌혈은 귀국 후 4주간 금지입니다. 남녀 모두 3개월간은 임신을 미루고, 성 접촉 시 콘돔을 사용해야 합니다.
성적 전파도 방심할 수 없습니다
지카바이러스는 성관계를 통해서도 감염됩니다. 감염 위험 국가를 다녀왔다면 남성은 3개월, 여성은 2개월간 임신 시도 금지입니다. 임산부의 경우, 파트너가 위험국가를 다녀왔다면 임신 기간 내내 성 접촉을 자제하거나 반드시 콘돔을 사용해야 합니다.
임산부와 영유아는 이렇게 보호해야 합니다
2개월 미만 아기는 해충 퇴치제 사용 금지입니다. 3세 미만은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피해야 합니다. 모기장, 방충망, 에어컨이 있는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게 기본입니다.
예방수칙 요약표
구분 | 세부 내용 및 수치 |
전 세계 발생 | 2023년 56,601명 / 2024년 44,957명 / 2025년 5월까지 12,660명 |
국내 발생 | 총 40명 (해외 유입 97.5%) |
위험국가 수 | WHO 지정 92개국 |
잠복기 | 3~14일 |
임신 연기 권고 | 남녀 모두 3개월 |
성관계 자제 기간 | 남성 3개월 / 여성 2개월 |
헌혈 금지 기간 | 귀국 후 4주 |
모기 기피제 성분 | DEET, 피카리딘, IR3535 등 |
증상 발생 시 | 귀국 후 2주 내 병원 방문, 방문력 알리기 |
지카바이러스는 지금도 실존하는 위험입니다
예방백신도 없고 치료제도 없습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며, 성적 전파, 임신 연기, 헌혈 금지 등 수칙은 생명을 보호하는 필수 조건입니다. 특히 중남미, 동남아, 아프리카를 여행할 계획이 있다면 오늘 당장 이 예방수칙을 실천해야 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파토민 성분, 진짜 효능 알고 싶다면? (필수 확인) (3) | 2025.06.06 |
---|---|
부스코판 배 아플 때 찾는 해결사! 효능부터 부작용까지 총정리 (0) | 2025.06.06 |
백내장 검사 3가지 핵심 체크포인트, 모르면 비용 손해봅니다 (0) | 2025.05.27 |
50대 이상 고혈압 관리, 건강검진에서 꼭 확인해야 할 수치 3가지 (0) | 2025.05.22 |
실직 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 보험료 폭탄 피하는 법 (2025년) (0) | 2025.05.15 |
댓글